핫이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2022’ 발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한우 사육 마릿수

348만 9,000마리 전망


한우 도매가격 (원/kg)

1만 9,185원 전망

 

히_2022_03_웹진_핫이슈1.jpg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농업·농촌, 새 희망을 보다’라는 주제로 ‘농업전망 2022’를 발표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22년 한우 사육 마릿수는 가임암소와 송아지 생산 마릿수 증가로 2021년보다 2.4% 증가한 348만 9,000두로 전망되며, 코로나19 확산으로 가정 내 소비가 지속되며 2021년 대비 강보합세가 예상되지만, 출하 가능 마릿수가 점차 많아지는 2분기 이후 점진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가임암소 수 최근 10년 이래 ‘최대’
도매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농가의 번식의향 또한 높게 유지되고 있어 가임암소가 160만 마리 수준을 넘어섰다. 이는 최근 10년 이래 최대 수준이다. 2022년 송아지 생산 마릿수는 2021년 대비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육 마릿수는 가임암소 증가에 따른 송아지 생산 증가로 2023년 354만 5,000마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축 마릿수는 2023년 사육 마릿수 증가 영향으로 2024년 99만 6,000마리까지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2024년까지 도축 마릿수 증가로 가격이 하락국면으로 이어져 2026년까지 사육 마릿수는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히_2022_03_웹진_핫이슈2.jpg

 

 

 

2022년 국내 소고기 생산량: 전년 대비 8.3%
2022년 국내 소고기 생산량은 도축 마릿수 증가로 2021년 대비 8.3% 증가한 28만 6,000톤으로 전망된다. 2022년 출하에 영향을 미치는 2019~2020년 송아지 생산이 늘어 거세우 출하 가능 마릿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지속적인 가임암소 증가로 암소 사육 마릿수도 2021년에 비해 많은 수준이다. 소 이력제 자료(2021년 12월말 기준)에 따르면, 2022년에 출하 가능한 거세우 마릿수(18개월 이상)는 2021년 대비 6.3%, 암소 사육 마릿수는 5.0%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소고기 수입량: 전년 대비 4.3% 감소
2022년 소고기 수입량은 관세 인하에도 불구하고 환율과 수입 단가 상승, 주요 수입국의 생산량 감소 등으로 2021년 대비 4.3% 감소한 43만 3천 톤으로 전망된다. 호주산 소고기 수입은 목초지 환경 개선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나, 수입 비중이 큰 미국산 소고기 수입량은 미국 내 생산량 감소로 2021년 대비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 소고기 공급량: 전년 대비 소폭 증가
2022년 소고기 공급량은 수입량 감소에도 국내 도축 물량 증가 영향으로 2021년 대비 소폭 증가한 71만 9천 톤, 1인당 소비가능량은 13.9kg으로 예상된다. 수입량 감소와 국내 생산량 증가로 소고기 자급률은 39.7%로 2021년보다 2.9%p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22년 전국 평균 한우 도매가격: 전년 대비 9.4% 하락 
2022년 전국 평균 한우 도매가격은 2021년 대비 9.4% 하락한 kg당 1만 9,185원으로 전망된다. 
1분기 도매가격은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한 가정 내 소비 지속으로 2021년 대비 강보합세가 예상되지만, 출하 가능 마릿수가 점차 많아지는 2분기 이후 점진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히_2022_03_웹진_핫이슈3.jpg

 

 

선제적 수급 조절 필요
2021년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사육과 도축 마릿수 증가에도 가정 내 소비를 중심으로 수요가 늘어 강세가 지속되었다. 가격 강세로 농가들의 입식의향 또한 높아졌으며, 이로 인해 한우 사육 마릿수 증가세는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예상된다. 사육 마릿수 증가에 따라 향후 도축 마릿수는 중장기적으로 과잉 공급될 전망이다. 한편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해외여행 재개 등 일상이 회복되면 축산물 수요는 현재보다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중장기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하락이 우려된다. 따라서 선제적으로 자율적인 수급 조절이필요해 보인다. 한우산업은 규모화와 전업화가 되었기 때문에 능동적인 수급 조절이 가능하다. 농가에서는 신규 입식을 자제하고, 한우 고기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은 시기에 암소를 선제적으로 도태해 장기적으로 한우 산업의 변동성을 줄이고 이익을 도모하는 경영이 필요하다.